이스라엘 당국은 신와르를 제거하기 위해 1년여간 끈질기게 추적했는데요. <br /> <br />'걸어 다니는 죽은 자'로 불리는 신와르는 왜 이스라엘의 '1순위 표적'이 됐을까요? <br /> <br />어떤 인물인지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무장정파 하마스 1인자로 불리던 야히야 신와르. <br /> <br />1962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'칸 유니스'라는 난민촌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20대 중반인 1987년 팔레스타인에서 반 이스라엘 운동 '인티파다'가 일어나는데, 이때 하마스 창립에 참여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당시 신아르는 하마스 보안부에서 이스라엘에 협력한 팔레스타인인들을 색출해 살해하는 활동을 했는데, <br /> <br />이때부터 '칸유니스의 도살자'로 불리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이스라엘 군인 2명을 살해하고, 정보원 4명까지 제거할 계획을 세웠다가 이스라엘 당국에 붙잡혀 종신형을 선고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2011년 하마스와 이스라엘 포로 교환 과정에서 극적으로 풀려나게 됩니다. <br /> <br />하마스로 돌아온 뒤엔 승승장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군사 조직의 책임자가 돼 이란과 밀착하며 조직 내 장악력을 확대했고, 2017년엔 이스마일 하니예가 정치 지도자가 되자, 가자지구의 지도자 자리를 물려받습니다. <br /> <br />이때부터 신와르는 가자지구를 이스라엘 공격을 위한 작전기지로 만드는 계획에 본격 착수하는데요.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대규모 땅굴과 무기 저장고 등을 구축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결국, 지난해 10월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는 '알아크사의 홍수' 작전을 실행하죠. <br /> <br />이 공격으로 이스라엘인 천 200명이 살해되고, 250여 명이 납치됐고, 이스라엘은 신와르를 제거하기 위해 40만 달러, 우리 돈 약 5억 5천만 원의 현상금을 내걸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인편으로만 소통하며 건재함을 알린 신와르, <br /> <br />오랜 기간 이스라엘의 암살 위험을 피하며 '걸어 다니는 죽은 자'라 별칭을 얻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7월엔 하니예가 암살되자, 하마스의 정치 지도자로 올라섰죠. <br /> <br />하지만 이스라엘은 추적 역시 끈질겼습니다. <br /> <br />1년여 동안의 추적 끝에 어제(17일) 공습으로 신와르가 사망했다는 사실을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하마스 수장에 오른 지 3개월 만입니다. <br /> <br />강경파 신와르의 죽음이 중동 정세에 어떤 파장을 불러올지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앵커ㅣ윤재희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01810364727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